본문 바로가기

개발

Git Bash/Powershell에서 Github으로 로그인/연동하기

프로그래밍은 뭐든지 처음이 가장 힘든 것 같습니다.

git관련해서만 벌써 몇시간을 날리고있는지...

새 리포지토리를 생성할 때, public/private은 원하는대로 선택. 리뷰를 받을 수 있을지도 모르니 Public으로 올리는걸 권장.

먼저 파일이 작성되어있는 경우, Initialize thie repository with a README는 체크해제

리포지토리에 README파일이 생겨버려서 페치하고 머지해야하는 귀찮은 과정을 또 해야합니다.

그 외 git관련 커맨드

git config --list

config와 관련된 설정들을 리스트로 보여줍니다.

git config --global --edit

실수로 user.email을 user.mail로 입력해버렸을 경우, 또는 내가 뭐라고 적었는지 확인하고 싶은 경우

vim파일을 열어서 수정가능합니다.

a를 누르면 편집모드로 전환

ZZ를 눌러서 저장하고 빠져나오기.

이 화면을 vim이라고 하는데, 관련 커맨드를 더 확인하고 싶으면 vim 커맨드라고 검색하면 됩니다.

git remote

현재 설정된 깃을 보여줍니다. 보통 깃헙은 origin이라는 이름으로 많이 설정.

ex)헤로쿠의 경우는 Heroku로 설정

git remote rm 리포지토리이름

리포지토리와의 연결을 삭제합니다. 로컬이나 원격 저장소의 정보는 삭제되지 않습니다.

git remote add origin 깃헙리포지토리주소

git init 이후 깃헙의 원격 저장소와 이어줄 때 사용하는 커맨드

위의 커맨드들을 보면 뭐가 많이 꼬여서 push를 해도 unable to access~ The requested URL returned error:403이 뜹니다.

이 때 확인할 사항으로는

user.email과 user.name이 제대로 설정되어있는지, 만약 설정되어있는데도 깃허브 로그인화면이 뜨지 않는다면 SSH키를 깃허브에 등록해야합니다. SSH키를 등록 후

$git remote set-url origin git@github.com:본인아이디/리포지토리이름.git
$git push origin master

를 입력하면 해결!